직장 생활을 하다 보면 누구나 한 번쯤 퇴사를 생각하게 되잖아요. 그런데 막상 퇴사를 결심하고 나면 가장 궁금한 게 바로 '퇴직금'이에요.
"내가 얼마를 받을 수 있지?", "계산이 너무 복잡한데..." 이런 고민, 저만 해본 거 아니죠? 😅
다행히 요즘은 퇴직금 제도가 더 명확해지고 계산기도 잘 나와 있어서 예전보다 훨씬 쉽게 알아볼 수 있더라고요.
오늘은 2025년 최신 기준으로 퇴직금 계산하는 법과 꼭 알아야 할 핵심 정보를 모두 정리해 드릴게요.
퇴직금 지급 조건, 이것만 알면 돼요! ✅
퇴직금은 모든 근로자가 받는 건 아니에요. 법적으로 정해진 몇 가지 조건을 만족해야만 받을 수 있답니다. 가장 중요한 두 가지 조건은 바로 이것이에요.
- 계속근로기간 1년 이상: 동일 사업장에서 1년 이상 근무해야 해요. 중간에 잠시 쉬었더라도 고용 관계가 계속 유지되었다면 포함될 수 있어요.
- 4주 평균 15시간 이상 근무: 근로자의 주당 평균 근무 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합니다. 단시간 근로자분들도 이 조건을 충족하면 퇴직금을 받을 수 있어요!
2025년 현재, 퇴직연금 제도가 보편화되면서 퇴직연금(DC, DB)에 가입한 회사들이 많아요. 퇴직금은 회사가 직접 지급하지만, 퇴직연금은 금융기관을 통해 지급되니 내 회사가 어떤 제도를 운영하는지 미리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퇴직금 계산의 핵심 공식 파헤치기 📝
퇴직금은 아래 공식으로 계산할 수 있어요.
퇴직금 = (1일 평균임금) × 30(일) × (총 계속근로기간) / 365(일)
공식만 보면 조금 어려울 수 있는데요, 하나씩 자세히 알아볼게요.
- 1일 평균임금: 퇴사일 이전 3개월 동안 받은 임금 총액을 그 기간의 총 일수로 나눈 금액이에요. 상여금이나 연차수당도 포함될 수 있으니 꼭 확인해야 합니다.
- 총 계속근로기간: 입사일부터 퇴사일까지의 전체 일수입니다.
평균임금 계산 시, 퇴직일 이전 3개월 내에 육아휴직이나 병가 등 휴직 기간이 포함되었다면 그 기간은 제외하고 계산해야 정확한 금액을 산정할 수 있어요.
실제 계산 예시로 쉽게 이해하기 📊
[퇴직금 계산 예시 📝]
- 입사일: 2022년 9월 1일
- 퇴사일: 2025년 8월 31일
- 퇴사 직전 3개월(2025. 6. 1 ~ 8. 31) 임금 총액: 9,000,000원
- 퇴사 직전 3개월 총 일수: 92일 (6월 30일 + 7월 31일 + 8월 31일)
1일 평균임금 = 9,000,000원 ÷ 92일 ≈ 97,826원
- 총 계속근로기간: 3년 (2022. 9. 1 ~ 2025. 8. 31) ≈ 1096일
예상 퇴직금 = 97,826원 × 30일 × 1096일 / 365일 ≈ 8,799,000원
※ 위 금액은 세전 금액이며, 실제 퇴직금은 퇴직소득세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2025년 최신 퇴직금 계산기 🔢
복잡한 계산, 직접 할 필요 없이 아래 계산기로 간편하게 확인해 보세요. 2025년 최신 기준으로 업데이트되었습니다.
퇴직금 간편 계산기
1. 입사일:
2. 퇴사일:
3. 최근 3개월 월 평균임금:
퇴직금에 대한 자주 묻는 질문 ❓
퇴직금은 우리가 회사에 기여한 시간에 대한 정당한 보상이자, 새로운 시작을 위한 소중한 자산이에요. 꼼꼼하게 계산해서 후회 없는 마무리를 하셨으면 좋겠습니다!
혹시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로 물어봐주세요. 😊